top of page

‘영혼의 상(像)’

                                                                                                                            

정미조의 ‘내면의 떨림’은 색과 형태로 자연을 침묵에서 깨뜨리며, 숨겨진 영혼의 비밀을 흔들고 있다. 자연의 형태인 나무는 우리의 망막 위에 작가의 창작 의지와 내면이 외적인 상(像)으로 맺힌다. 인간과 자연의 경계는 희미해지며 작가의 내적인 것이 외적인 인상으로 공간에 자리한다. 우리는 정미조가 예술적 고향으로 하는 ‘영혼의 상’을 감지할 수 있다. 그녀는 자연이 예술의 원천이자 세계의 기원과도 같은 어머니임을 무의식적으로 확신하고 있는 것이다. 그녀의 내면에 이미 구상되어 들어 있던 산과 들, 꽃과 나무, 뿌리와 잎사귀 등 자연의 모든 형상은 그녀의 내면과 자연을 분리할 수 없는 ‘신성함’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정미조의 자연에 대한 내적 떨림은 영원한 영혼의 세계를 조형적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윤인복(로마대학 미술사 박사)

 

‘The Image of Soul’

 

Jeong Mi‐jo’s ‘Inner Trembling’ breaks the silence of nature through color and form, and shakes the secret of hidden soul. Trees of natural form are projected on our retina as the external images of the artist’s will to create and inner heart.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ature is blurred, and the artist’s inside is seated in space as an external impression. We can sense ‘the image of soul,’ in which Jeong Mi‐jo finds the home of her art. She unconsciously believes that nature is the source of art and the Mother of the world. All natural images like mountains and fields, flowers and trees, and roots and leaves conceived already in her inside visualize her inner heart and nature as inseparable ‘sacredness.’ Jeong Mi‐jo’s inner trembling toward nature expresses the world of eternal soul in a formative language.

 

Prf. Youn In-bok (Art History. Ph.D)

bottom of page